[1948] 임계경로(위상정렬, 에지 뒤집기)
·
Coding Test/Graph
1948번: 임계경로 첫째 줄에 도시의 개수 n(1 ≤ n ≤ 10,000)이 주어지고 둘째 줄에는 도로의 개수 m(1 ≤ m ≤ 100,000)이 주어진다. 그리고 셋째 줄부터 m+2줄까지 다음과 같은 도로의 정보가 주어진다. 처음에는 도로의 www.acmicpc.net 분석 임계경로 : 그래프에서 임계경로란 어떤 시작지점으로부터 끝지점까지의 최장경로를 의미 풀이 """ 임계경로 구하기 1분도 쉬지않고 달려야 하는 사람들이 지나는 도로의 수 : 가장 오랜 시간이 걸리는 사람 → 임계경로, 그에 속한 정점구하기 에지 뒤집기 """ import sys from collections import deque input=sys.stdin.readline n=int(input()) # 도시 수 m=int(inpu..